직장을 다니면서 여러가지 취미를 생각하고 있는 분들이 있습니다. 여행을 다닐까? 책을 읽을까? 수영? 조기축구? 사진? 맛집탐방?
오늘 소개해드릴 분은 현대자동차 직원이면서 취미는 목공예인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샌산관리1부 이선호 기술주임'입니다. 15년 전, 취미로 수집하던 수석의 좌대를 깎기 시작한 것이 지금까지 계속 이어졌다고 하는데요, 3년 전부터는 방 하나를 통째로 공방으로 사용하면서 각종 동물 모형과 목각 인형을 만든다고 합니다.
일렬로 전시된 목공예 작품들의 모습입니다
지도가 없으면 보물을 찾을 수 없듯, 미리 구상하지 않으면 좋은 작품이 나오지 않는답니다. 저는 항상 노트를 가지고 다녀요. 영감이 떠오를 때마다 바로바로 스케치하기 위함이죠. 구상 단계에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이 어떤 작품을 만들고 싶어 하는지 곰곰이 생각해봐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만족스럽지 않은 작품이 나오는 경우가 태반이거든요. 저는 가장 먼저 ‘스토리’를 염두에 둡니다. 단순히 모양이 예쁜 작품보다는 제가 직접 보고 느낀 사연이 담긴 작품이 훨씬 더 애착이 가고 잘 만들어지거든요. 여러분도 작은 노트 한 권 가지고 다니면서 하고 싶은 얘기를 마음껏 스케치해보세요!
이선호 기술주임은 작품 하나하나에 정성을 담아 작업합니다
목공예라고 해서 값비싼 원목을 무리해서 구할 필요는 없어요. 가지치기해 버려진 가로수 나뭇가지, 공사판의 나무판자, 심지어 이쑤시개도 훌륭한 목공예 재료가 됩니다. 수석 목공예에 쓰는 수석도 나들이 갔을 때, 길을 지날 때 등 일상 속에서 주로 구하죠. 물론 목공예용 나무를 구입할 수도 있습니다. 주로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주문하는데 검은색이 나는 흑단, 붉은 기운이 도는 파덕, 기름기 있는 유창목 등을 주로 구입합니다. 그런데 제가 쓰는 나무는 가구를 만드는 원목처럼 비싸지 않아요. 주로 원목을 만들고 남은 자투리 재료로 소품 위주의 목공예를 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경제적인 부담은 거의 없답니다.
완성을 앞둔 목공예 작품들의 모습입니다
구상과 재료 선정을 끝마쳤다면 이제는 본격적으로 작품을 만들 차례입니다. 저는 경력이 오래된 만큼 조각칼은 물론이고 드릴, 목선반, 전기톱 등을 두루 활용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안전’이죠. 그래서 조각 도구를 다룰 때는 항상 긴장의 끈을 놓지 않습니다. 그런가 하면 작품의 완성도에서 중요한 점은 바로 ‘감성’입니다. 같은 목각 인형이라도 어떤 것은 쓸쓸해 보이고, 어떤 것은 기뻐하는 듯 보이기도 하죠. 고개의 각도, 팔다리의 움직임 등의 아주 미묘한 차이에 따라 표현되는 감성의 결도 달라지는 만큼, 원하는 작품이 나올 때까지 끈기를 가지고 조각을 해나가야 합니다. 작품을 완성한 뒤에는 동백기름 등 천연 나무 기름을 발라 보존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생산관리1부 이선호 기술주임입니다
여러분도 아직 가지지 못한 취미가 있다면 목공예는 어떤가요?
자세한 이야기는 현대자동차 924호 전문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목공예품 소개 - 힐링우드 사업단 목소리 (0) | 2017.06.22 |
---|---|
목공 DIY 장비 소개 : 각도 절단기, 드릴, 샌더만 있으면 끝 (0) | 2017.05.22 |
목공예 나무 고르는 방법 (0) | 2017.05.22 |
목공예기능사란? (0) | 2017.05.17 |
2017년 킨텍스 가구엑스포 / 차ㆍ공예박람회 (0) | 2017.05.08 |